본문 바로가기
아파트상가토지 분양

[두산위브트레지움]부천에 거주하는 무주택을 위한 저렴한 LH 공공 아파트 분양

by 부동산 사필지 2022. 10. 27.

1. 들어가며

o LH에 따르면 경기도 부천에 소재하는 아파트(두산위브 트레지움)를 저렴하게 분양한다고 합니다.

o 이번 분양 아파트는  LH가 임대하던 아파트를 분양하는 물량이며 오늘은 이러한 아파트 정보와 신청 자격 그리고 신청 일정 및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.

2. 아파트 정보

(1) 아파트 위치 : 경기도 부천시 수도로 18(약대동 196, 두산위브 트레지움)

o 본 아파트는 두산 위브 트레지움으로서 아래의 지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부천 시청역에 인접해 있고, 근처에 부천 초등학교가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.

분양-아파트를-나타내는-지도
아파트 위치(출처 : 다음 지도 재 가공)

(2) 아파트 분양 가격

o 이번 아파트는 총 22호이며 전용면적 39.90m2에 분양 가격은 3.1억~3.6억 정도입니다.

o 아래의 그림은 분양 가격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며 자세한 분양 가격은 이 포스팅의 맨 밑에 있는 공고문을 확인하시면 됩니다.

아파트-분양-가격을-정리한-표
아파트 분양 가격(출처 : LH)

(3) 유의 사항

o 금회 공급하는 주택은 LH에서 10년 임대 후 분양전환 실시한 주택 중 「입주자 퇴거로 LH에 명도 된 주택」입니다.

o 기존 입주자의 퇴거 후 상태 그대로 인계하여 드리므로 신청자는 반드시 계약 전 세대 내부를 확인하시고 계약 체결 여부를 결정하시기 바랍니다.

o 또한, 시설물(디지털 도어록, 보일러, 도시가스, 수도, 새시, 도배, 장판, 욕실, 싱크대, 세대 열쇠, 전기·전자제품, 기타 시설물 및 마감재 등)의 미비, 파손, 노후화, 청소 불량, 철거 등을 사유로 향후 하자보수 등을 요구할 수 없습니다

o 계약 체결 후 해약하는 경우 계약서 등에 따라 위약금(총 주택 가격의 10%)을 공제합니다.

o 기타 단지 여건, 세대 내부 상태, 마감재 등을 반드시 본인이 주택 개방일에 현장 확인 후 계약하여야 하며 세대 미확인으로 인한 이의를 제기할 수 없습니다.

3. 신청 자격(입주 자격) : 무주택 + 청약저축+부천 거주

(1) 무주택

o 입주자 모집공고일(2022.10.20.) 현재 세대 구성원 전원이 무주택이어야 합니다.

o 무주택 여부에 대해서는 아래를 클릭하시면 보다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우리 가족도 무주택에 해당될까?

1. 서론 공공 임대 신청 시 무주택에 해당되어야 소정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그런데 주택이 있어도 무주택에 해당되는 경우가 있고, 공공 임대 신청 시 주택이 없어도 무주택이 아닌 경우

4afds43.tistory.com

(2) 청약 저축

o 입주자 모집공고일(2022.10.20.) 현재 주택청약저축(청약저축)에 가입해야 합니다.

(3) 경기도 부천시 거주

o 입주자 모집공고일(2022.10.20.) 현재 경기도 부천시에 거주해야 합니다.

4. 신청 일정 및 방법

신청-일정-및-방법을-정리한-표
신청 일정 및 방법(출처  : LH)

o 참고로 1순위는 아래의 3가지 요건을 모두 만족하는 분입니다.

  ①청약저축 또는 주택청약종합저축에 가입하여 2년이 경과되고 매월 약정 납입일에 월 납입금을 24회 이상 납입하였을 것

  ② 세대주일 것

  ③ 무주택세대 구성원으로서 과거 5년 이내 세대 구성원 전원이 다른 주택의 당첨자가 되지 아니하였을 것

 

o 2순위는 성년자인 무주택 세대 구성원으로서 1순위에 해당되지 아니하는 청약저축 또는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입니다.

5. 공고문 및 문의처

o 본 내용에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 첨부한 공고문을 확인하시면 되며 문의처는 1600-1004입니다.

(221020)부천약대1공가세대일반매각공고문.pdf
0.53MB

6. 블로그 소개

o 본 블로그는 LH와 같은 국민 아파트 분양 정보를 정리해드립니다.

o 저희가 소개해 드리는 아파트는 공공 아파트인 관계로 분양가가 저렴한 한 대신 소정의 입주 자격이 필요합니다. 이러한 아파트에 대해 각 지역별 및 조건별 아파트 정보를 알기 쉽게 소개해 드리겠습니다.

반응형

댓글